2010. 1. 12. 15:17
0x01. HTTP 프로토콜 이란?
① HTTP 버전
② 결과 코드
③ 응답에 대한 상황을 설명해 주는 문자열
④ 브라우저가 응답한 내용을 캐시에 저장하지 않도록 지시
⑤ 메시지 바디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냄
⑥ 헤더 다음 오는 빈칸 뒤 메시지 바디가 따라 나오며 Content-Type 헤더는 이 메시지 바디에 어떤 문서가 있는지를 알려준다.
- 월드와이드웹(www)에서 쓰이는 핵심 통신 프로토콜
0x02. HTTP 요청
① HTTP 전송방법(GET, POST, PUT 등)
② 요청된 URL
③ HTTP 버전
④ Referer : 이전에 어디에서 요청을 받았는지에 대한 URL을 나타낸다
⑤ User-Agent : 브라우저나 기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정보
⑥ Host 헤더 : URL 주소에 나타난 호스트명을 자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
⑦ Cookie 헤더 :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 인자 값에 추가정보를 보낼때 사용
② 요청된 URL
③ HTTP 버전
④ Referer : 이전에 어디에서 요청을 받았는지에 대한 URL을 나타낸다
⑤ User-Agent : 브라우저나 기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정보
⑥ Host 헤더 : URL 주소에 나타난 호스트명을 자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
⑦ Cookie 헤더 :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전송한 인자 값에 추가정보를 보낼때 사용
0x03. HTTP 응답
① HTTP 버전
② 결과 코드
③ 응답에 대한 상황을 설명해 주는 문자열
④ 브라우저가 응답한 내용을 캐시에 저장하지 않도록 지시
⑤ 메시지 바디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냄
⑥ 헤더 다음 오는 빈칸 뒤 메시지 바디가 따라 나오며 Content-Type 헤더는 이 메시지 바디에 어떤 문서가 있는지를 알려준다.
0x04. HTTP 메소드
① GET : URL 쿼리 문자열에 인자 값을 보내는 용도, 로그에 저장됨.
전송되는 값들이 주소창에 보여짐.
- ex) http://www.test.com/test.asp?test=test
② POST : GET과 동일하지만 더 많은 문자를 전송가능, GET보다 안전함.
전송되는 값들이 주소창에 보여지지 않음.
- ex) http://www.test.com/test.asp 그 뒤 test=test는 body로 전송함.
- ex) http://www.test.com/test.asp 그 뒤 test=test는 body로 전송함.
③ HEAD : GET 요청과 비슷하게 작동하는 메소드지만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응답
할 때 메시지 바디를 보내지 않는다.
④ TRACE : 진단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. 서버는 응답 바디에 요청 받은 자료와
독같은 내용을 보낸다.
⑤ OPTIONS : 사용가능한 HTTP 방식을 알고 싶을 때 사용. 서버는 응답으로 사용
할 수 있는 모든 메소드 리스트를 클라이언트에 전송.
⑥ PUT : 서버에 특정 데이터를 올릴 때 사용하는 방식. HTTP 요청 바디에 있는
내용을 올리게 요청함.
⑦ 이 외 MOVE, DELETE 등의 메소드 들이 있다.
'- Web Hacking > 1. 기초 다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코딩 스키마 (0) | 2010.01.13 |
---|---|
HTTP 프로토콜(3) (1) | 2010.01.12 |
HTTP 프로토콜(2) (0) | 2010.01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