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x01. URL 인코딩
   - 16진수 ASCII 형태와 그 앞에 % 붙여 만들어지기도 함.
   - ex) =( %3d ), space( %20 )


0x02. 유니코드 인코딩
   - 문자 인코딩의 표준
   - %u 뒤에 16진수로 표기된 유니코드 문자
   - ex) /( %u2215 ), e( %u00e9 )

   - UTF-8 형식의 인코딩은 문자앞에 %가 붙고 바로 뒤에 문자의 바이트를 16진법으로
     나타낸 숫자가 따라온다
   - ex) ⓒ( %c2%a9 ), ≠( %e2%89%a0 )


0x03. HTML 인코딩
   - 문제가 있을만한 문자들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사용
   - HTML 엔티티 정의 : "( &quot; ), &( &amp; ), <( &lt; )
   - ASCII를 이용해 10진법으로 인코딩 : "( &#34; ), '( &#39; )
   - ASCII를 이용해 16진법으로 인코딩 : "( &#x22; ), '( &#x27; )


0x04. Base64 인코딩
   - 모든 바이너리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ASCII 문자들을 통해서만 나타냄
   - 이메일 첨부 파일을 인코딩해서 SMTP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할 때 사용
   - 입력 데이터를 3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은 다시 6비트씩 네부분으로 나뉜다
   - 6비트의 데이터는 64개의 다른 변환을 줄 수 있으며, 64개 문자를 통해 쉽게 나타냄
   - 입력 데이터의 마지막 블록이 출력 데이터의 세 블록보다 작게 나왔다면 출력은 
      하나 또는 두 개의 = 문자로 채워진다. 
   - ex) test( dGVzdG== )


0x05. Hex 인코딩
   -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은 바이너리 데이터 전송시 ASCII 문자들과 함께 Hex 인코딩 사용
   - ex) test( 74657374 )


0x06. En·Decoding 관련 사이트 및 Tool
   - TRANSLATOR, BINARY(http://home2.paulschou.net/tools/xlate/)
      : TEXT, BINARY, HEX, BASE64, DEC/CHAR 의 En·Decoding 지원

   - Yellowpipe(http://www.yellowpipe.com/yis/tools/encrypter/index.php)
      : 각종 En·Decoding 지원

   - Coder(http://bindshell.net/tools/coder)
      : 적은 용량의 인디코딩 툴












'- Web Hacking > 1. 기초 다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TP 프로토콜(3)  (1) 2010.01.12
HTTP 프로토콜(2)  (0) 2010.01.12
HTTP 프로토콜(1)  (0) 2010.01.12
Posted by wooga